생방송 유스트림 활용 - PC화면 생방송으로 송출하기 | 온맘관리자 | 2014-04-24 | |||
|
|||||
금일 아카데미에 참석하신 선교사님께서 요청하신 PC화면 송출하는 솔루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유스트림 생방송하기 - PC화면 방송편 유스트림 생방송하기 – pc화면 방송편: 데스크탑 프리젠터 사용법게임방송을 하시거나, 컴퓨터 강의방송 등 PC의 화면을 그대로 방송해야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 때는 데스크탑 프리젠터(Desktop Presenter)라는 툴을 사용해서 방송을 해야한답니다. 지금부터 데스크탑 프리젠터를 사용하는 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초편과 중급편을 마치시고, PC화면 방송편까지 함께 따라해 보시면 이제 여러분도 누구 못지 않은 유스트리머가 되실 수 있습니다.
1. 데스크탑 프리젠터 다운받기/설치하기 데스크탑 프리젠터는 유스트림 프로듀서(Ustream Producer)를 다운받는 페이지에서 함께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유스트림 홈페이지에서 중급편에 알려드린 경로로 가셔도 되고, 여기 이 링크를 따라가셔도 됩니다. <http://www.ustream.tv/producer> 유스트림 프로듀서를 다운받는 페이지의 중간에 위와 같은 프리젠터 다운로드 링크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본인의 PC OS(Mac/Windows)에 맞는 링크를 클릭하시면 바로 프리젠터 설치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됩니다. 다운로드되면 바로 <설치>를 눌러주세요.
설치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프로그램이 설치될 경로를 확인하시고, 또
이제 정말 설치 시작합니다. 설치하시려면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데스크탑 프리젠터는 유스트림 프로듀서(Ustream Producer)프로그램 안에서 실행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전에 설치해두었던 유스트림 프로듀서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2. 유스트림 프로듀서에서 데스크탑 프리젠터 연결하기
말씀 드렸듯이, 데스크탑 프리젠터는 프로듀서 프로그램 속에서 실행합니다. 기초편에 알려드린 웹에 구현된 기본 방송툴로는 PC화면 방송이 불가능합니다. 프로듀서가 없으신 분은 <유스트림 생방송하기 - 중급편>을 보시고 다운받아 설치하세요.
유스트림 프로듀서를 실행하시고, 유스트림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먼저, 데스크탑 프리젠터와 유스트림 프로듀서를 연결해 보겠습니다. 중간의 아이콘 중에서 컴퓨터 모양으로 생긴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확장메뉴가 나오는데요, 그 중에서 윈도우즈 작업표시줄을 보시면, 데스크탑 프리젠터가 실행되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클릭해보세요.
데스크탑 프리젠터 윈도우가 보입니다. 자세히 보실까요?
아래쪽에 TCP/IP Address가 보이시죠? 이 주소를 잘 기억해 두세요.
다시 프로듀서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프로듀서의 중간에 보시면, 카메라 모양의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확장메뉴가 나옵니다. 여기에서
자, 프로듀서의 소스 세팅 창이 떴습니다. 번호별로 보면서 프리젠터 연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번 영역이 있는 하단에, +기호가 하나 있습니다. 여기를 누르시면 1번과 같이 확장메뉴가 나옵니다. 여기에서 그러면, 오른쪽에 방금만든 프리젠터를 세팅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아직 프로듀서와 데스크탑 프리젠터가 연결되지 않아 화면이 검게 나오네요. 두 툴을 연결해 보겠습니다. 3번 영역에 IP Address를 쓸 수 있는 빈 칸이 보이시죠? 여기에 아까 봐두셨던 데스크탑 프리젠터의 TCP/IP 주소를 똑같이 입력해주세요. PC의 소리가 함께 소스로 들어오길 원하시면 4번의 자, 마지막으로 데스크탑 프리젠터와 프로듀서가 연결이 되었습니다.^^
3. 데스크탑 프리젠터 소스 추가하기
이제 프로듀서에 데스크탑 프리젠터를 소스로 추가하면 바로 PC화면을 방송하실 수 있습니다.
유스트림 프로듀서에서 중간에 있는 PC모양 아이콘을 클릭해 확장메뉴를 엽니다. 확장메뉴의 맨 밑을 보시면
트레이에
4. 데스크탑 프리젠터 설정하기 이제 데스크탑 프리젠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PC화면을 방송할 때에는 화면에 나오는 그대로 전체를 방송하는 경우, 원하는 작업창 하나만 방송하는 경우, 혹은 영역을 지정하여 그 부분을 방송하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의 수가 있죠? 이런 요구에 맞추어 프리젠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드립니다.
프리젠터를 다시 열어보겠습니다. Source라고 써있는 부분을 보시면
먼저, 를 선택해 볼까요? 그러면 Selection이라는 영역에서 확장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데요, 클릭해 보겠습니다. 5가지 선택지가 나오네요. Full Screen을 선택하시면, PC 모니터에 나오는 전체 화면을 그대로 방송하게 됩니다. 두 번째 Select Screen Region을 누르시면 제가 마음대로 마우스를 이용하여 화면의 특정 영역과 크기를 지정하여 방송할 수 있게 되죠.
Select Screen Region을 선택하시고, 세, 네 번째로 나온 800X600, Centered와 320X240, Centered라는 메뉴는 미리 지정된 크기로 화면의 가운데 부분을 방송할 때 사용합니다. 마지막의 Custom, Centered는 크기는 내 마음대로 조절하고, 화면 중앙을 방송하는 옵션입니다.
이번엔 Main Display 말고, Source에서 Window를 선택했더니, Application이라는 영역과 Window라는 영역이 나오는군요.
Application이라고 된 부분을 보니, 지금 제 PC에 열려있는 각종 실행창들이 보이네요. 데스크탑 프리젠터, 구글 크롬, 유스트림 프로듀서, 그리고 인터넷익스플로러입니다. 이중에 저는 구글 크롬을 선택해 보겠습니다.
Application에서 구글 크롬을 선택하니 Window라는 부분에 구글 크롬으로 제가 열어둔 2개의 작업창을 선택할 수 있네요. 이 중에 제가 하나를 선택하면, 유스트림 프로듀서 방송화면에 그 창이 방송되는 거에요.
저는 Window에 데스크탑 프리젠터를 선택하여 방송화면에 띄워보겠습니다. 보이시나요? 제 방송화면에 데스크탑 프리젠터 창만 그대로 방송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른 화면도 선택해서 방송하시면 됩니다.
따라해보시니 많이 어렵진 않죠? 여기까지 잘 따라하셨다면 여러분도 이제 유스트리머 상급자의 반열에 오르셨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나만의 방송을 좀 더 예쁘고, 멋지게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데스크탑 프리젠터 활용법. 오늘 설명은 여기서 마칩니다.^^ |
댓글 0